시놀로지NAS 하드 추가하기(WD RED 3TB 2개) 정말 중요한, 조금 과장하면 목숨 다음으로 중요한 나의 자료들은 절대로 날려먹어서는 안된다. 콘텐츠를 만들고 관리하는 사람들은 데이터의 보관과 활용이 매우 중요하다.처음 시놀리지 NAS DS415+를 사용했을 땐 하드디스크 2개만을 이용했다. 2TB 두 개를 활용해서 RAID 1으로 구성한다음 중복 백업을 활용했다. 시놀로지 NAS를 처음쓴게 2015년이니 벌써 2년 이상 사용하고 있는데 굉장히 만족스럽다. 기존에 쓰던 데본씽크, 외장하드, 클라우드 서비스에 있던 대부분의 자료가 이제는 NAS에 들어있다. 중복 백업이 되므로 안정적이고 폴더트리로 관리하는게 익숙해지면서 자신만의 자료색인을 통해 특정한 자료를 빠르게 찾아낼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내..
시놀로지 NAS, DSM 6.0 중요 업데이트 시놀로지 NAS의 DSM(Disk Station Manager)이 6.0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5.2버전에서 6.0버전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시놀로지 NAS를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업데이트 하시기 바랍니다. DSM 6.0의 기능 DSM 6.0은 5버전대의 DSM과는 크게 달라졌습니다. 5.2에서 불과 몇 개월만에 업데이트되면서 굉장히 빠르게 런칭되었는데요. Virtual DSM과 DSM Docker라는 DSM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지원 가능 모델일 경우에만 가능). 베타가 붙어있지만 개인 클라우드 메일 서비스인 MailPlus와 MailPlus Server 패키지가 추가 되었고 파일 스테이션에서 효율적인 검색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
시놀로지 NAS를 MAC 타임머신으로 활용하기 기존까지 MAC의 타임머신은 상시 연결보다는 정기 연결 형태로하여 백업을 진행해왔다. 일주일 혹은 한 달, 두 달, 그것도 아니라면 몇 달에 한 번 정도 통째로 외장하드에 백업하는 방법을 고수했었다. 수년간 맥북과 아이맥을 필두로 맥 위주로 사용해왓지만, MAC 자체가 한순간에 확 날아가는 그런 경험을 한 적이 없는데다가 운영체제 업데이트같은 중요 이슈가 아니라면 백업이 번거롭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상시 타임머신 운용을 통한 상시 백업에 대한 니즈가 있었다.이번에 시놀로지 NAS를 이용해서 타임머신 기능을 이용해보았는데 아주 간편하고 상시 연결이 순조롭게 되는데다가 백업까지 깔끔하게 되어 만족스럽게 이용 중이다. 이제 타임머신은 1시간 주..
시놀로지 NAS 활용을 위한 추천 패키지 앱 설치하기(MAC용 및 아이폰용) 시놀로지 NAS는 기본 설치되는 File Station만으로도 얼마든지 자료를 업로드/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권장 패키지를 설치하면 특정 파일에 특화된 시스템으로 관리하고 PC와 스마트폰을 자유롭게 오가면서 자료를 탐색할 수 있어 훨씬 유용합니다.이번에는 추천 패키지를 몇 개 설치해봅니다.패키지 앱은 DSM 첫 화면에 있는 패키지 센터에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용은 앱스토어 또는 구글플레이에서 받아 설치하면됩니다. NAS 부분 메이커인 시놀로지는 다양한 기능과 훌륭한 모바일 지원이 가능한 다수의 앱을 보유하고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 아주 좋습니다.제가 사용하는 패키지는 현재로선 3개인데요. Download Sta..
시놀로지 NAS에 자료 업로드/다운로드 하기 이제 구축된 시놀로지 NAS를 사용해야합니다. 사용방법은 사용자마다 천차만별이고 자신에게 잘 맞는, 그리고 자신의 작업환경에 어울리는 방식을 채택하면됩니다. 확장성이 좋은 시놀로지 NAS인데다 FTP, WebDAV 등 다양한 지원이 합쳐져 입 맛따라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저는 MAC OS X과 파이어폭스 브라우저를 주력으로 이용하고, 아이폰을 사용합니다. 대부분의 작업은 집에서 이루어지며 외부에서 노트북 등으로 와이파이 방식에서 접속하는 경우는 가끔 있습니다. 제 스타일에선 어떤 파일을 서버에 올리는 작업은 거의 없다보니 FTP는 사용할 일이 없고 대부분은 라이트한 파일 이동 및 업/다운로드 작업이므로 마운트시킨 WebDAV 만으로 충분했습니다...
개인용 NAS 시놀로지 DS415+에서 사용자 계정 및 권한 관리하기 개인용 NAS를 활용하는 목적에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료 백업과 보관, 그리고 관리용이 될 수도 있고 많은 데이터들을 공유하고 누군가와 협업할 수도 있죠. 메일 서버로 이용할 수도 있고, 일상적으로 사진과 동영상을 친구들과 공유하고 가족들끼리 TV 프로그램을 공유해서 모두들 감상하게 만들어 둘 수도 있습니다. 가장 기초적인틀만 잡아놓으면 그다음부터는 활용도가 무척 뛰어난 것이 NAS의 장점입니다.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다양성과 확장성을 지니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널리 보급된 편이 아닌데다가 일반 사용자에겐 생소해서 처음 NAS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곤란함을 겪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 이야기할 사용자 계정 ..
개인용 NAS의 핵심, RAID 구성하기 개인용 NAS의 핵심은 NAS에 들어있는 하드디스크의 구성을 어떻게 할 것인가 입니다. 예를들어 하드디스크를 건전지라고 했을 때 직렬로 연결할 것인지, 아니면 병렬로 연결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부분과 비슷합니다. 건전지는 출력이 있지만 하드디스크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은 데이터 보관에 영향을 줍니다.어떻게 연결할 것인가?를 RAID를 구성한다고 말하는데요. RAID(독립 디스크의 중복 어레이)는 여러 개의 하드 드라이브를 단일 저장소 공간으로 결합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소 기술입니다. 여러 가지 유형의 RAID가 있으며 유형마다 서로 다른 성능, 저장 용량 및 안정성을 제공하죠. 많이 사용하는 대표적 RAID 방법이 있고 보다 전문 지식이 있다면 사용자 입 맛에 맞도..
시놀로지 NAS DS415+ 초기 세팅하기(NAS 운영체제 DSM 설치) 시놀로지 NAS에 하드디스크를 삽입하고 공유기에 연결, 부팅까지 끝마친 하드웨어 세팅이 완료되었다면 이제 소프트웨어적인 세팅을 해주어야합니다. 초기에는 아무런 데이터와 체제가 없으므로 NAS의 하드웨어를 사용하게 해 줄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하는데요.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DSM(DiskStationManager)라는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일입니다.운영체제 설치라고해서 겁먹을 필요는 없습니다. DSM은 윈도우나 MAC OS X같은 PC운영체제보다 훨씬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으니까요. 게다가 시놀로지의 한글화와 인터넷 지원이 잘 마련되어 있어 상당히 경쾌한 느낌으로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DSM 설치하기 저는 아이맥 5K와 시놀로..
시놀로지 NAS DS415+에 하드디스크 설치 세팅하기 시놀로지 NAS를 사용할 때 준비물은 하드디스크를 제외하면 없습니다. 즉, NAS 기기와 하드디스크만 준비해두면 준비물은 완료인 셈이죠. 이제 나스에 하드디스크를 삽입하여 설치하고 랜선과 파워를 연결한 다음 공유기와 연결하여 부팅만 해주면 당장이라도 나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우선은 하드디스크 설치입니다. 나스와 하드디스크를 준비해주세요. 2베이 제품에는 최대 2개까지 들어가고, 4베이 제품에는 최대 4개의 하드가 들어가는데요. 시놀로지 DS415+는 4베이 제품입니다만 우선은 2개만 삽입해봅니다. 먼저 트레이에서 하드디스크 케이스를 빼냅니다. 누구나 쉽게 손으로 쏙 뺄 수 있습니다. 폴 버튼을 살짝만 열어주면됩니다. 시놀로지 나스 제품에 포함되어있..
나만의 저장소를 갖다, 개인용 클라우드 시놀로지 NAS DS415+ 컴퓨터로 대부분의 업무를 진행하는 요즘에는 데이터와 저장공간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데이터의 관리와 보관, 공유에 대한 접근성과 안전성이 담보되어야하고 백업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중요한 문서나 사진, 영상, 디자인 파일이 알 수 없는 오류로 인해 사라지는건 상상조차 하기 싫은 상황인데요. 이러한 데이터를 보관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대표적으로 요즘 인기를 끌고 있는 국내/국외 클라우드 서비스가 있죠. 드롭박스, 구글 드라이브, 애플의 아이클라우드와 KT의 유클라우드, 네이버의 N드라이브(네이버 클라우드로 최근 이름이 바뀌었네요)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무료로 일정 용량에 대해 사용이 가능하고 필요하다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