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형IRP 계좌 투자 전략(위험자산 70%, 안전자산 30%)

반응형

개인형 IRP 계좌를 운용하고 투자할 때, 저의 대원칙은 이렇습니다. "연금계좌에서는 절대로 돈을 손실보면 안된다" 이 원칙 아래에서 투자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IRP 관련 글이나 뉴스 기사를 찾아보면 마치 IRP 계좌에서 안전자산 30%로 제한돼 있는것이 단점인 것처럼 이야기를 많이들 하더라고요. 그러나 저의 생각은 조금 다릅니다.

절대로 원금을 손실보면 안된다는 원칙에 입각하면, IRP 계좌에서 안전자산 30% 룰은 굳이 따지자면, 괜찮은 조건으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100% 예금이라고 하더라도, 그 예금이 장기간 안전하다는 보장만 있다면 연금계좌에서는 그 목적을 생각해볼 때, 그쪽으로 가입하는게 유리하다고 보고 있는데요.

IRP 계좌를 포함해서 연금계좌의 경우, 절세 목적으로 가입하는 경우가 많지만, 만약 원금이 손실을 볼 경우, 세액공제 혜택보다 더 큰 손해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현재 IRP 계좌의 경우, 위험자산에 70%, 안전자산에 30%에 투자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위험자산 70%는 지수추종 ETF를, 안전자산 30%는 예금에 가입해서 매년 운용할 생각이며, 이것이 저의 전략입니다.

물론 이런 전략이 모두에게 잘 맞는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좀 더 공격적인 투자를 통해 수익률을 극대화하고 싶은분들도 많을걸로 생각되는데요. 저도 처음에는 이렇게 생각했던적이 있었는데, 곰곰히 생각을 해보니까 연금계좌의 경우, 그 목적상 안전자산에 투자하는게 꼭 나쁜건 아닌 것 같았습니다.

위험자산 7에다가 안전자산 3이면 딱 적절한 비율이라는 생각도 드는데요. 만약 공격적인 투자를 하고싶다면, 연금계좌가 아니라 일반 계좌나 ISA, 개인연금저축펀드 등 선택지가 많기 때문에 굳이 IRP에서까지 공격적인 투자를 해야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즉, IRP에서 안전자산 30% 룰은 많은분들이 이야기하는 것과는 조금 다르게 저는 이게 나쁜거라고 보고 있지 않습니다.

저는 연금계좌에서는 수익률을 높이기 위한 어떤 전략도 취하지 않습니다. 무조건 지수추종 ETF만 매수하며, 심지어 ISA와 개별 계좌에서도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여전히 대원칙 "절대로 원금을 손실보지 않아야한다"에 입각합니다. 초반에는 나스닥 지수추종에도 투자했으나 지금은 나스닥100 지수에도 투자하지 않고 오로지 S&P500만 가져가고 있습니다. 이렇게해도 원금을 손실이 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투자라면 그 가능성을 많이 낮출수는 있을걸로 봅니다.

채권의 경우, 수익률이 낮을 뿐만 아니라 원금손실 가능성도 있고 수익률도 들쭉날쭉하기 때문에 연금계좌에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보고요. 연금계좌에서는 보통은 10년 이상 장기투자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안전자산 30%는 단순 예금으로 가져가려고 하고 있습니다.

따지고보면, 어차피 여유자금으로 연금계좌에서 투자할 것이며, 여유자금은 어쨌거나 적금이든 예금이든 가입을 해야될텐데, 어차피 가입할 여유자금의 예금이라면 IRP 계좌에서 예금을 하면 되는 셈이라고 치면 결국 큰 차이는 없다고 봅니다.

 

그래서 이번에 IRP 계좌개설 후 입금하고, 그 예수금으로 위험자산 70%에서는 미국 S&P500 ETF를 매수해주었습니다. 

 

예금에서는 한국증권금융예금 DC/IRP 1년짜리 예금이 금리 4.1%를 주고 있고 AAA등급이라서 꽤 괜찮아보이더라고요. 그래서 안전자산 30%는 예금으로 매수해주었습니다. 그냥 현금으로 가지고 있어도 자동으로 미래에셋증권의 경우 [미래에셋증권현금성자산]이라는 이름의 상품이 매수가 되긴 합니다. 뭔가 CMA 같긴한데 구체적으로 뭔지는 잘 모르겠는 느낌입니다. 예금이 더 나은것 같아요.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