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살던 아파트에서는 월패드에서 실시간 전기 사용량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번 집은 COMMAX 코맥스 월패드를 쓰고 있는데 여기는 실시간 전기사용량을 확인하는게 약간 다르게 돼 있어서 직접 찾아보고나서 기록으로 남겨두려고 한다.최근 날씨가 많이 더워지면서 에어컨을 많이 틀다보니까 전기요금이 걱정이 되어서 전기사용량을 실시간 사용량을 체크해보는게 필요해졌다. COMMAX 코맥스 월패드의 경우 시스템이 잘 되어 있는 것 같지만 이상하게도 원하는걸 찾기가 힘들어서 전기사용량은 다음과 같이 체크해보면 된다.일단 코맥스 월패드에서 [앱스]로 들어간다. 앱스에 들어가보면 다양한 메뉴들이 있는데 여기에서 [에너지 사용]으로 들어간다.여기까지하면 위 그림처럼 나타나는데 처음에는 여기까지가 끝인줄 알고 어떻..
안동사랑상품권 사용 및 관리 측면에서 사용자 입장에서 최근에 조금 황당하고 이상한 일을 겪어서 기록으로 남겨두고자한다. 예전부터 이런일들이 종종 있었는데 최근에 더 심해진 것 같기도 하고 예전에는 그냥 잊고 살고 넘어갔었는데 하도 이상해서 이번에는 조금 상담해보게 되었던 썰이다.일단 안동사랑상품권은 지역화폐로서 안동시에서 밀고 있는 정책이기도 하고 오래도록 사용돼 왔던 지역화폐다. 최근에는 캐시백까지 추가하면서 사용성이 더 좋아졌고 사용금액도 더 늘어났다. 여기에 대해서도 할 말이 많지만 이렇게하면 글이 너무 길어지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는 패스하고, 이번에 겪은 일에 대해서만 기록해보려고 한다.안동사랑상품권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모바일 안동사랑상품권지류 안동사랑상품권기본적으로는 이렇게 구성돼 있다. 그리..
국민비서 앱에서 알림이 왔다. 새로운 신규 서비스 알림 신청이 가능하다는 내용이었다. 신규 신청이 가능한 서비스는 이번에 추진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관련이다. 국민비서 홈페이지에 들어간 다음 [알림서비스]에서 [서비스 소개]를 눌러보면 알림서비스 목록에 기존에는 없었던 신규 내용, 민생회복 소비쿠폰 안내 알림 서비스가 등록된걸 볼 수 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알림을 신청하게되면 행정안전부에서 발송하는데 신청마감 7일전, 사용마감 7일전 등으로 안내를 주기 때문에 유용하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이미 많이 알려진 것처럼 1차로 15만원, 2차로 10만원, 그리고 지방과 인구감소지역에는 추가로 3만원~5만원을 주는 형식이다. 카드사 카드, 지역사랑상품권 등으로 선택해서 받을 수 있는데 내가 볼 땐 지역사랑상품..
유주택자가 되면 여러가지 불이익과 이익이 함께 따라온다. 불이익의 경우에는 유주택자들은 못하는 여러가지 정책 상품이나 정책 지원 등을 받을 수 없게 되는 케이스가 많다. 주로 복지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이러한 정책 지원등은 대체로 무주택자 조건을 내걸고 있다.동시에 이익이 되는 부분도 있다. 여기에서 얘기하는건 집값 상승이나 집을 소유함으로써 보금자리가 있다는 안정감 같은 무형의 효용가치를 얘기하는건 아니고, 장기주택저당차입금이자상환액 소득공제라고 하는 훌륭한 절세 기능을 뜻한다. 집을 사면서 대출을 받게 되고, 대출 상환 과정에는 원금과 이자를 함께 갚아야하는데 이때 이자 부분에 대해서 소득공제를 주는 기능이다. 결과적으로 과세표준을 낮추어 절세 효과를 노릴 수 있고, 이때에는 소득이 높을수록 절세 효과..
키움증권에 있는 달러를 삼성증권으로 이체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일단 제일 먼저 키움증권에서 달러 USD가 예수금이 잡혀있는지 확인해준다. [잔고]에서 [예수금]으로 들어가면 볼 수 있다. 이제 키움증권에서 삼성증권으로 달러 이체를 들어가면 되는데 이때 외화가상계좌를 사용하므로 미리 준비가 필요하다.준비물키움증권 외화가상계좌삼성증권 외화가상계좌OTP이렇게 3가지를 미리 준비해주면 된다.키움증권 외화가상계좌 확인일단 키움증권에서 외화가상계좌를 확인한다키움증권 전체 메뉴에서 [업무] - [외화이체(타사)등록/조회]에서 [외화가상계좌 등록/해지]메뉴에서 확인해주면 된다. 예전에 신청한적이 있다면 국민은행으로 된 가상계좌번호가 나타날 것이고 아닐 경우 신청해서 만들면 된다. 키움증권에서는 국민은행을 외화가상계..
키움증권에서 투자하고 있는 S&P500 ETF인 IVV의 분기 배당금이 들어왔다. 해당 ETF는 분기별로 배당을 지급하는데 1주당 배당금액이 1.86697 USD다. 배당수익률만 따지면 1.6% 정도로서, 현재 기준으로 일반 예금보다도 배당수익률이 낮다. 여기에 더해서 배당을 받으려면 15%에 달하는 배당소득세를 원천징수로 내야한다.나는 배당금이 아예 없거나 아주 미세하게 주는걸 선호한다. 나는 시세차익에만 관심이 있으며 배당에는 큰 관심이 없으므로 배당주로 유명한 상품들에도 투자하지 않는다. 블로그나 유튜브 같은데에서는 허구언날, 배당성장주 어쩌고하면서 배당으로 월 300 파이어족 어쩌고 저쩌고 이야기들이 많은데 다들 기믹 같다. 배당을 많이 받음으로써 불이익이 주어지는 금융소득종합과세 걸리거나 건강보..
요즘에는 법인이나 개인사업자분들도 생성형 AI 같은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업무에 활용을 많이 하는 듯 하다.문제는 세금 측면이다. 규모있는 기업이나 기관일 경우, 예산에서 달러로 직접 결제를 하게되면 금액이 달라져서 골치아픈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럴때에는 구매대행 업체 등을 이용해서 소프트웨어를 공급받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문제는 자영업자나 개인사업자 등 소규모 사업자 입장인데 이때에는 생성형 AI 같은 해외결제를 요구하는 구독 서비스들의 경우 한국지사가 없다면 영수증 정규증빙 수취를 통한 비용처리 및 부가세 환급 등에서 불리하게 되는 것 같다. 그래서 오늘은 이 문제를 알아보고 내가 생각한 해결책도 한 번 기록해보고자 한다.내가 유료결제로 직접 이용하고 있는 클로드 AI를 기준으로 알아보..
NH농협카드로 해외결제 서비스 이용을 할 때 정규증빙 수취를 위해 매출전표나 영수증 출력을 하려면 모바일에서는 안되고 PC에서 NH농협카드 홈페이지로 들어가야한다.NH농협카드 홈페이지에 로그인한 후 [마이]에서 [이용내역]쪽을 살펴보면 [카드이용내역]이 있고 [매출전표출력]이 있는데 한쪽에 기능이 통합돼 있는게 아니라 기능이 분리되어 있다. 그래서 카드이용내역을 확인할 목적이라면 [카드이용내역]으로 들어가면 되고, 영수증 출력을 위해서라면 [매출전표출력]으로 들어가야한다. 매출전표 사본출력에서 해당 결제분을 찾아 출력하면 된다. 이때 국내 이용내역과 해외 이용내역이 하는 방법이 다르다. 국내 이용 내역은 매출전표 사본출력으로 가면 되는데, 해외결제일 경우 좀 더 복잡하다. [카드이용내역]에서 [해외]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