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TV 수신료 해지 신청 방법 (실제경험)

반응형

나는 TV를 보지 않기 때문에 이사를 하게되면 제일 먼저 관리비에 자동으로 붙어나오는 TV 수신료 해지부터 하고 있다. 20대 중반에 독립한 이후부터 TV를 가져본적이 없다. 친구들이나 지인들은 우리집에 TV가 없는걸 보고서는 "TV없이 어떻게 사냐?"라고들 한다. 나는 TV를 보지도 않고 TV가 없어서 불편했던적도 없어서 그냥저냥 없는게 익숙하다. 다른 사람들 TV볼 시간에 그냥 책보거나 누워서 폰으로 유튜브 보거나 그런다.

아이패드도 있고, 38인치 와이드 모니터도 있고해서 화면을 보는데 불편함은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요즘에는 TV프로그램들 요약본도 유튜브에 많이 올라오는걸로 알고있어서 굳이? 란 생각이 많이 든다. 요즘 집에서 아이를 키우는 가정에서는 가지고 있던 TV도 없애는 추세인 듯 하다. TV없는 거실이라고 검색해보니 엄청나게 많은 후기들이 검색되었다.

오래도록 TV없이 살아온 사람으로서 경험상 TV 없어서 불편한점이라면... 아주 가끔 친구들이나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를 할 때 인기있는 TV프로그램 관련으로 이야기가 나올 때가 있다. "그거 봤냐?"뭐 이런식으로 시작하는 대화들인데 내용을 전혀 모르니 이때 잠시 불편하고 공감 못하는것 빼고는... 삶에 아무런 지장이 없다.

오히려 신경쓸게 적어지고 다른 사람들의 가십거리나 불필요한 가십거리에 신경을 덜 쓰다보니 자기 자신이나 중요한 일에 생각을 집중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삿짐 들어오던날 찍은 사진. 이사하는데 폭설이 왔다

이번에 아파트 갈아타기 하면서 이사를 하게 되었고 이사 후에는 거실을 예쁘게 꾸미고 싶었기 때문에 TV를 살지말지 엄청나게 고민하였다. TV 자체는 요즘에는 인터넷 바꾸거나하면 작은건 공짜로 주는것도 있고 큰 TV라고 하더라도 가격이 엄청나게 비싼 수준은 아니라서 고민하였는데 TV없는 거실을 만들기로 하였고 TV 대신 책장을 넣을 예정이다. 거실 서재화를 만들려고하고 앞으로는 책도 많이 읽으려고 생각 중이다.

아무튼 이사 이후 관리비에 자동으로 붙어나오는 TV 수신료를 해지해야한다. 이전 아파트에 살때 기억으로는 관리사무소에 전화를 걸어서 "TV가 없으니 TV 수신료를 해지하고싶다"라고 말하면 알아서 착착 해주었던적이 있었어서 이번에도 비슷할까 싶었다. 그래서 이번에도 관리사무소에 전화를 걸어서 똑같이 이야기를 하니까 관리사무소에서 직접 할 수 없고 KBS에 직접 전화를 걸어서 해지신청을 해야한다는 답변을 받았다.

KBS TV수신료 전화로 해지 신청하기

전화로 하는게 빠를 것 같아서 먼저 전화로 걸어보았다. 실제로 관리사무소에서도 KBS수신료콜센터 전화번호를 알려주더라.

KBS 수신료의 경우 KBS수신료콜센터 1588-1801로 전화를 걸어야한다. 문제는 아무리 전화를 걸어도 통화가 불가능했다는점이다. KBS수신료 콜센터의 경우 계속 기다리는 것도 안되고 통화량이 많다면서 나중에 다시 전화를 달라고하면서 전화가 끊어져버린다...;;

그래서 KBS수신료 사업지사 연락처를 조회해서 사업지사에 전화를 걸어보았다.

 

KBS 수신료

수신료는 국가기간방송 매체와 채널의 방송시설을 유지 운영하고 방송프로그램을 제작해 방송함으로써 국가기간방송의 역할을 다하는데 ...

program.kbs.co.kr

KBS 홈페이지에서 사업지사 전화번호 목록을 볼 수 있다.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도시에 맞는 곳을 찾아 전화번호를 확인한 후 전화를 걸면 되는데, 이때에도 문제가 사업지사도 전화를 안받는다... 그리고 계속 기다리는게 또 안되고 또 전화가 끊어지게 되고, 그러면 또 전화를 걸어서 기다리고... 반복이다.

전화 통화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할 수 없이 인터넷으로 신청해보았다.

반응형

KBS TV수신료 해지 인터넷으로 신청하기

KBS TV 수신료 해지를 위해서는 우선 KBS 홈페이지에서 로그인이 필요하다. 그런데 로그인을 하려면 아이디가 있어야하니 회원가입이 필요하다. 그래서 회원가입 후 로그인을 해준다. 재미있는점은 회원가입할 때 간편가입(카카오톡 연계 가입 등)으로 하면 또 TV 말소가 안된다고해서 정식으로 휴대폰 인증 같은걸로 가입해야한다.ㅋㅋㅋ

로그인 해준 후 메뉴에서 [수신료 관련 1:1 민원 신청]에서 [TV 신규등록/TV말소(미소지 등)] 메뉴로 들어간다. 여기에서 TV 말소 신청을 할 때 또 고객번호가 필수로 필요하다. 그런데 아직 첫번째 관리비 정산 영수증을 받지 않은 상태이므로 고객번호를 모르기 때문에 고객번호를 알아내야한다. 

이때에는 한전 ON 홈페이지로 들어가야한다. 

 

한전ON(한전온)

전기요금 조회·납부, 명의변경, 고객상담 등 전기사용 관련 고객서비스를 제공하는 한전의 대표 플랫폼

online.kepco.co.kr

여기에도 또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해주고 고객번호를 조회해야한다. (주소로 조회 가능)

 

한전ON 홈페이지에서 [마이] - [전기사용정보 관리] - [전기사용계약 상세]로 들어가면 고객번호와 세대계약번호를 조회할 수 있다. 이렇게해서 세대계약번호를 알아내면 된다. 이 번호를 이용해 KBS 홈페이지에서 신청한다.

 

신규 문의에서 <TV말소/미소지>로 체크해주고 제목을 적어준다.

 

신청 내용을 적어야하는데 대충 "TV가 없고 보고 있지 않고 TV수신기를 갖고 있지 않으니 TV 수신료 제외 신청한다"라는 글을 쓰면 된다.

 

다음으로 연락처와 전기 고객번호(위에서 한전ON으로 조회), 주소와 메일 주소 등을 기입해준다. 이렇게하면 신청이 완료된다.

할 때 마다 느끼는건데, 아무리 국민방송이고 관리비와 전기요금에 붙어서 나오고 뭐 그런건 알겠는데... 도시가스처럼 TV를 보는 사람이 신청해서 요금을 납부하면서 신청하도록 해놔야지, 기본으로 요금이 납부되고 TV를 보지 않는 사람이 오히려 해지를 해야하도록 만들어둔건 좀 빨리 바뀌면 좋겠다. 이런것도 일종의 황당규제 아닌가?

아무튼, 며칠 정도 뒤에 담당자 확인 후 전화를 준다고해서 기다리는 중. 

 

반응형

댓글

작가 남시언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Designed by JB FACTORY